진주 여행에서 기억에 남는 먹거리를 고르라면 단연 진주 제일식당의 육회 비빔밥이 아닐까 합니다. 진주 중앙시장 인근에 있는 그냥 평범한 밥집입니다. 이곳의 주 메뉴는 바로 육회 비빔밥, 맛집인지는 모르겠지만 자주 먹지 않던 육회 비빔밥이 기억에 남아 그 맛을 소개해 봅니다.
| 목차 - 글의 내용
여행에서 가장 좋은 것은 그 지역의 로컬한 음식을 먹어볼 수 있는 것입니다. 특별하게 특색이 있지 않더라도 그 지역만의 음식맛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래 육회를 잘 먹지 않는 편인데 너무나 평범한 식당의 평범한 메뉴가 육회 비빔밥이라서 큰 마음먹고 한 번 먹어보게 되었습니다.
제일식당 육회 비빔밥
진주 여행은 처음인데 진주 중앙시장 근처에 위치한 이 식당은 특별할 것 별로 없는 그냥 시장 안에 있는 일반적인 식당입니다. 지나다가 들러서 한 끼 먹고 가는 그런 곳이랄까요. 보기에는 그랬습니다.
식당은 그리 크지 않으며 구수한 사투리가 그냥 묻어 나오는 사장님과 먼저 먹고 있던 동네 어르신들의 대화를 들으며 가격도 착한 육회 비빔밥을 주문합니다. 식당의 생긴 모양은 이렇습니다.
아래 메뉴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서울에서 먹는 육회 비빔밥보다는 가격대가 착합니다. 약간 일반적으로 먹어 보았던 거랑은 그 모양이 좀 다르긴 한데 맛은 개인적으로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주문한 메뉴와 기타 메뉴들을 간단히 봅니다.
메뉴 종류
- 육회 비빔밥 - 10,000원 (소), 12,000원 (대) / (소)를 주문함
- 육회
- 가오리무침
- 소고기선지국밥
- 주류 (소주, 맥주, 막걸리)
- 매실마을, 백세주
- 그 외
이 동네에 여행 와서 느낀 건데 여긴 가오리무침을 많이 먹더군요. 딱히 무침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뭔가 가오리를 이용한 요리들이 있습니다. 시장을 잠깐 구경했는데 해산물 코너에 가오리들이 무척이나 많이 있습니다.
육회 비빔밥(소)라고 하더라도 이게 그렇게 작은 양은 아닙니다.
어른 기준으로 보면 딱 적당한 정도인데 생각보다 양이 많습니다. 비빔밥과 함께 소고기 선지국밥 국물을 함께 내주는데 살짝 칼칼한 맛에 감칠맛을 줍니다. 맵진 않아요.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서울에서 먹어본 육회 비빔밥이랑은 조금 다른 듯합니다. 밥에 여러 가지 채나물과 양념에 버무린 육회가 위에 얹어 나옵니다. 살짝 데친(삶은) 채소와 육회가 무척 잘 어울립니다. 양념도 맵지 않고 감칠맛 있게 맛있습니다
함께 나오는 국물과 기본 반찬으로 나오는 동치미 무를 함께 먹으니 정말 잘 어울리고 맛이 참 좋습니다. 기본 반찬은 별거 없습니다.
- 김치 (모양은 푹 익은 묵은지, 맛은 아삭이)
- 오징어무침 (진미채)
- 동치미 (무)
이렇게 나오고 함께 떠먹을 수 있는 국물을 비빔밥과 함께 줍니다. 김치는 딱 보기에는 예전에 나주에 여행 갔을 때 먹어 보았던 푹 곰삭은 김치 모양인데 한 번 먹어보면 아삭하게 식감이 좋은 약간 익은 김치입니다. 이게 무척 신기했습니다.
동치미는 국물도, 그리고 폭 익은 무도 맛있습니다.
맛 평가
원래 진주 여행은 처음이고 그러다 보니 이곳의 지역색이 있는 음식맛을 본 것도 처음입니다. 원래 전라도 음식이 맛있고 입에도 잘 맞았는데 이번에 먹어본 진주 지역의 음식도 괜찮았습니다. 특히 처음 맛본 진주의 육회 비빔밥은 지금도 기억에 남을 정도고 괜찮았습니다.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감칠맛이 도는 그런 맛입니다.
- 특징 : 채소와 육회, 양념장의 조화 + 국밥 국물 최고
- 장점 : 감칠맛이 있고 부드러움
- 단점 : 지역적 거리
- 평점 : 4.6 / 5
- 재방문 의사 : ○
육회는 제대로 하는 곳에서 먹어야 비린맛이 없다고 하는데 진주 제일식당의 육회 비빔밥은 고기도 좋고 채소와 양념장도 잘 어울려 먹기 좋았습니다. 무엇보다 함께 먹는 국밥 국물이 비빔밥과 무척 잘 어울리더군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소고기선지국밥도 한 번 먹어보고 싶긴 합니다.
지리적인 위치가 최대의 단점이 아닐까 싶은데, 진주 여행에서만 맛볼 수 있는 로컬한 음식 맛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좋았습니다.
위치 안내
진주에는 처음 가본 터라 그 동네 사람처럼 자세히 설명은 못하겠고, 제일식당은 지도에서 보면 알겠지만 인근에 진주중앙시장이 있습니다. 그 근처입니다.
여러 지역을 돌며 여행하면서 느낀 점은 교통편의 인프라가 지역별로 갭차이가 크다는 것입니다. 어느 곳은 지금은 모르겠지만 몇 년 전만 해도 정말 교통편이 좋질 않아서 고생한 적이 있습니다. 그 지역을 자랑하고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싶다면 교통편부터 제대로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